사회초년생 무슨 카드를 써야할까?
체크카드 vs 신용카드
결론부터 말하자면 두 가지를
적절히 혜택에 맞게 섞어쓰는게
가장 좋은 방법인거 같다.
나는 취업 후 4년 동안 체크카드만 썼다. 취업한지 4년이면 그리 짧지 않은 시간인데 체크카드만 사용하는걸 주변에서는 신기해했다. 나는 딱히 할부를 쓸 일도 없었고 당장 낼 돈이 없어 할부를 이용하며 큰 돈을 사용하는게 싫었다. 항상 내가 가진 범위 안에서만 사용하고 그 돈을 바로 지불하는걸 좋아했다. 뭔가 빚지는 느낌이었고 소득공제율도 체크카드가 더 높았기 때문이다. 당장 낼 돈이 있는데 굳이 신용카드를 사용해 공제율을 낮추고 싶지 않았다. 하지만 이제 생각이 많이 바꼈다.
직장 생활 4년차가 되니 슬슬 재테크에도 관심이 생기고 소비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필수적인 소비를 할 때 똑똑한 소비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. 그래서 요즘 사람들이 많이 쓰는 카드가 뭔지 검색해보다 작년에 첫 신용카드를 발급 받았다. 경제공부를 하며 다시 알게된 것으로는 신용카드는 할부만을 위해 존재하는게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. 나중에 신용대출을 받을 때 중요한 신용점수를 올리는데 이용할 수도 있고 내 소비패턴에 맞는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하면 체크카드보다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다. 실제로도 작년에 발급받은 신용카드 혜택을 알차게 즐기며 잘 쓰고 있다.

먼저 내가 쓰는 체크카드에 대해 추천하자면, 처음에는 어렸기 때문에 주거래 은행인 신한은행에서 혜택 따위는 알 수가 없는 체크카드를 쓰다가 신한 네이버페이 체크카드를 만들었고 조금 더 적립되는 케이뱅크 네이버페이 신용카드를 만들었다. 내가 사용한 금액의 1.2%를 네이버페이 포인트로 적립해주는 형식이다. 당월 국내가맹점 실적 24만원만 채우면 최대 3만원 한도내로 포인트가 적립된다. 하지만 아쉽게도 신한은행과 케이뱅크의 네이버페이 체크카드는 현재 발급이 중단되었다.
하지만 굳이 신한은행, 케이뱅크가 아니더라도 우리은행에서도 만들 수 있다. 네이버페이 체크카드가 당시 굉장히 인기가 많았기 때문에 다른 은행에서도 같은 혜택의 카드를 출시했었다. 굳이 네이버페이가 아니더라도 주거래 은행에서 사용 금액의 1.2% 포인트 환급 혜택이 있으면 만드셔도 좋고 문화생활을 많이 즐기는 분이라면 cgv 할인, 미술관 할인 이런 혜택을 찾아 만드시는걸 추천드린다. 무조건 많은 사람들이 만드는 카드를 따라서 만드는 것 보다는 자신의 소비 패턴을 분석해서 소비 패턴에 맞는 카드를 발급받아야 한다. 소비패턴을 파악하시려면 가계부를 작성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
나의 첫 신용카드는 신한은행에 더모아 카드다.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쉽게도… 이 카드도 21년 12월 31일부로 발급이 중단됐다… 하지만 언젠가 다시 재출시 될 수도 있고 비슷한 유형의 카드를 찾아보시라는 의미로 포스팅 해봤다. 이 카드의 혜택은 5천원 이상 결제 시 백원 단위의 금액이 전부 적립된다. 단 1일 1가맹점만 가능하다. 보통 인터넷 구매 시 포인트를 써서 999원에 맞춰 결제를 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셀프 주요소에 가서 5,999원에 맞춰 주유를 하시는 분들도 계신다.
이 카드는 당월 30만원 실적만 채우면 포인트를 적립해준다. 배달의 민족, 요기요, 백화점, 통신비는 포인트를 2배로 적립해주는 특별 적립도 있다. 마침 내 휴대폰 요금은 900원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요금 납부를 이 신용카드로 변경했다. 덕분에 통신비는 1800원 을 다시 돌려받는다. 더모아 카드 사용 초반에는 딱 30만원만 채우고 나머지는 체크카드를 사용했는데도 신용카드 포인트가 한 달에 2만원이 넘게 쌓였다. 잘만 사용하면 3~5만원 쌓는 것도 가능할 것 같다.
이 외에도 아직 발급되는 카드로 인기가 많은 카드는 신한 딥드림, 우리 카드의 정석, 현대 제로카드 이렇게 3가지를 가장 많이 봤다. 무작정 인기 많은 카드를 발급 받으시는 것 보단 본인한테 맞는 혜택, 필요한 혜택을 발급 받으셔야 합니다.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회초년생 직장인의 목돈 마련 방법 (저축, 적금, 파이프라인 구축, 부수입 창출, 주식, 소비 줄이기) (0) | 2022.01.16 |
---|---|
혜택 좋은 체크카드 베스트 5가지 소개 및 추천 (0) | 2021.07.12 |